안녕하세요! 😊 혹시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분이 계신가요? 아니면 혹시 내가 대상자가 될 수 있을까 궁금해하셨던 적은 없으신가요? 오늘은 바로 그런 분들을 위해 꼭 알아야 할 '장애인 활동지원사업'에 대해 제가 직접!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해요. 저도 예전에 관련 정보를 찾아보면서 좀 복잡하다고 느꼈는데, 이번에 2025년 변경 사항까지 싹 다 정리해봤거든요. 우리 모두에게 정말 중요한 정보니까, 같이 차근차근 알아볼까요?
장애인 활동지원사업, 이게 뭔데요? 🤔
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은 한마디로,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장애로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분들이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을 독립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 제도예요. 신체활동, 가사활동, 사회활동 등 다양한 부분을 지원해서 삶의 질을 높여주는 거죠.
이 사업은 단순히 돌봄을 넘어, 장애를 가진 분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더욱 활기차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답니다!
혹시 내가 신청 자격이 될까? 신청 자격 요건 🧐
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건 아니고요, 몇 가지 조건이 있답니다.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어요.
- 만 6세 이상 만 65세 미만의 「장애인복지법」상 등록 장애인이면서,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 활동지원등급(1~15구간) 판정을 받은 경우
- 활동지원서비스 수급자였다가 만 65세 이후,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에 따른 장기요양급여를 신청했는데 등급 외 판정을 받은 경우
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 요양 등급을 이미 판정받으셨다면,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는 중복해서 신청할 수 없어요. 이 점 꼭 기억해주세요!
아, 그런데 예외도 있더라고요! 만 65세 미만의 노인성 질환(파킨슨병, 뇌졸중 등)으로 인해 등록 장애인이 되신 분들은 「노인장기요양보험법」에 따른 장기요양급여와 「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」를 중복 신청할 수 있답니다. 이때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, 두 급여 간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인되면 '보전급여 대상자'로 선정되어 활동지원 서비스를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. 진짜 다행이죠? 😊
어떤 혜택들을 받을 수 있을까요? ✨
이 사업을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정말 다양해요. 필요한 서비스를 골라서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아요. 어떤 서비스들이 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?
- 신체활동지원: 목욕, 세면, 식사 도움, 실내 이동 보조 등
- 사회활동지원: 등하교 및 출퇴근 이동 보조, 외출 동행 등
- 가사활동지원: 청소 및 주변 정돈, 세탁, 취사 등
- 방문 목욕: 가정을 방문하여 목욕 서비스 제공
- 방문 간호: 간호, 진료, 요양 상담, 구강 위생 등
다만, 지원등급에 따라서 서비스 이용 월 한도액이 정해져 있고, 일부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!
2025년 활동지원급여 지원등급별 월 한도액 💰
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죠! 2025년 단가가 반영된 활동지원등급별 월 한도액을 표로 정리해봤어요. 나의 종합 점수에 따라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답니다.
활동지원급여 구간 | 종합 점수 | 월 한도액 |
---|---|---|
1구간 | 465점 이상 | 7,980,000원 |
2구간 | 435점 이상 ~ 465점 미만 | 7,481,000원 |
3구간 | 405점 이상 ~ 435점 미만 | 6,983,000원 |
4구간 | 375점 이상 ~ 405점 미만 | 6,485,000원 |
5구간 | 345점 이상 ~ 375점 미만 | 5,986,000원 |
6구간 | 315점 이상 ~ 345점 미만 | 5,488,000원 |
7구간 | 285점 이상 ~ 315점 미만 | 4,986,000원 |
8구간 | 255점 이상 ~ 285점 미만 | 4,489,000원 |
9구간 | 225점 이상 ~ 255점 미만 | 3,991,000원 |
10구간 | 195점 이상 ~ 225점 미만 | 3,492,000원 |
11구간 | 165점 이상 ~ 195점 미만 | 2,994,000원 |
12구간 | 135점 이상 ~ 165점 미만 | 2,495,000원 |
13구간 | 105점 이상 ~ 135점 미만 | 1,997,000원 |
14구간 | 75점 이상 ~ 105점 미만 | 1,499,000원 |
15구간 | 42점 이상 ~ 75점 미만 | 1,000,000원 |
2025년, 이렇게 바뀌었어요! 🆕
2025년부터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에 몇 가지 반가운 변화가 생겼더라고요! 저도 솔직히 깜짝 놀랐는데, 내용을 보니 정말 많은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 같아 바로 소개해 드릴게요!
- 산모신생아방문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 동시 이용 가능: 2024년까지는 출산한 여성 장애인분이 같은 시간대에 이 두 서비스를 중복해서 이용하는 게 어려웠대요. 그런데 2025년부터는 두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되어, 출산 시 정말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답니다!
- 보훈 대상자 활동지원서비스 수급 가능: 국가보훈대상자 상이등급 3급~7급에 해당하는 분들도 2024년 9월부터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게 되었어요. 복지 접근성이 훨씬 좋아진 거죠!
- 활동지원서비스 수급자의 자녀 양육 보조 가능 연령 확대: 기존에는 6세 이하 자녀만 지원이 가능했는데, 이제 10세 이하 자녀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확대되었어요. 장애 부모님의 양육 부담이 한결 줄어들 것 같아요.
📌 자녀 양육 보조 시 유의사항!
활동지원사가 당사자와 별도의 공간에서 자녀 양육을 대행하는 것은 불가능해요. 같은 공간에서 당사자의 양육을 보조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!
- 온라인 신청 기능 정식 개편: 드디어! 2025년부터는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활동지원 갱신 및 등급 변경 신청이 가능해진답니다. 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정말 편의성이 확 올라간 거죠! 저도 이런 온라인 서비스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늘 생각했거든요.
장애인 활동지원사업, 어떻게 신청하나요? 📝
신청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. 본인이 편한 방법으로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돼요!
- 오프라인 방문 신청: 가까운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어요. 방문하실 때는 통장과 건강보험증을 꼭 지참하시는 게 좋아요!
- 온라인 신청: 2025년부터는 복지로 웹사이트 (www.bokjiro.go.kr) 에서도 신청이 가능해진다고 해요! 집에서 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할 것 같아요.
복지로 바로 가기 🌐
온라인 신청은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복지로 웹사이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.
글의 핵심 요약 📝
오늘 우리가 함께 알아본 '장애인 활동지원사업'의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볼게요. 이 사업은 정말 많은 분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는 소중한 제도예요.
-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이란? 신체적,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맞춤형 생활 및 직장생활 지원 제도입니다.
- 신청 자격은? 만 6세 이상 만 65세 미만 등록 장애인으로 활동지원등급 판정을 받거나, 만 65세 이후 장기요양급여 등급 외 판정을 받은 기존 수급자입니다. (일부 노인성 질환 등록 장애인은 중복 신청 가능)
- 어떤 혜택을 받나요? 신체활동, 사회활동, 가사활동 지원은 물론 방문 목욕, 방문 간호 서비스까지 다양하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- 2025년 주요 변경사항: 산모신생아방문서비스 동시 이용, 보훈 대상자 수급 가능, 자녀 양육 보조 연령 확대(10세 이하), 온라인 신청 기능 개편 등이 있습니다.
- 신청 방법은?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과 2025년부터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사업 대상 확대 및 혜택 다변화 (노인성 질환 중복 수급, 보훈 대상자 포함)
- 2025년 자녀 양육 보조 연령 확대 (10세 이하) 및 산모신생아방문서비스 동시 이용 가능!
- 이제 동 주민센터 방문 없이 '복지로'에서 온라인 신청까지 가능! (2025년~)
자주 묻는 질문 ❓
오늘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에 대해 저와 함께 알아보셨는데 어떠셨나요? 복지 제도는 알아갈수록 우리 삶에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새삼 깨닫게 되는 것 같아요. 이 글이 여러분이나 여러분 주변의 소중한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! 😊
'일상 정보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초연금, 신청방법과 숨은 혜택까지 (2025년 최신 정보) (6) | 2025.05.30 |
---|---|
국민연금 납부예외, 이렇게 신청하세요! (1) | 2025.05.30 |
청년도약계좌, 가입 나이 완벽 가이드! (3) | 2025.05.30 |
김해시 사전투표소 2025 총정리: 제21대 대선, 우리 동네 투표소는 어디? (3) | 2025.05.30 |
전월세 신고, 6월부터 달라집니다! 과태료 피하는 방법 (4) | 2025.05.29 |